팁과 사례

새해 목표를 꼭 달성하기 위하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18년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갑작스럽지만, 여러분은 작년 이맘때쯤에 세운 신년 목표가 어떤 내용이었는지 기억나시나요? 그리고 2017년의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하셨나요? 이 달성률 이야기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매년 오직 10% 미만의 사람만이 달성한다고 합니다. 이번 블로그를 통해서 2018년 새해 목표 달성을 위해 더 깊이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년 포부 작성법

제일 먼저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일」이라든가 「스텝업을 위해 지금의 나에게 부족한 부분」을 재확인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요?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키워드를 모두 적어두고, 그것들을 정리하면서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그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내고 그것을 「새해 포부」로 삼으시면 됩니다.

구체적인 목표 설정하기

새해 포부를 결정한 다음에는 그것을 구체적인 성과나 숫자로 표시해주고 목표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생각해 보세요.

 포부:영어 실력을 향상시키기  목표: TOEIC ○○○점 취득하기
 포부: 작년보다 저금액을 늘리기  목표: 매달 ○○만원씩 저축하기

이때 설정한 목표가 현실적인 내용인가 생각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내 자신이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 앞에서 의욕이 상승하는 성격인지 혹은 순조롭게 실현되어야 노력이 유지되는 성격인지 자기 성격에 대해 분석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년포부(+목표)를 확인하기 쉽게 만드는 법

Evernote 에 저장한 노트는 지금 사용하시는 스마트폰이나 PC, 태블릿 등에서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겠지만, 연초에 작성한 노트는 시간이 갈수록 깊이 파묻히기 십상입니다. 그렇게 해서 「새해 목표」 노트의 존재를 잊어버리지 않도록 바로가기에 추가해 놓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진행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법

일년이 지난 후 마지막으로 결과를 돌이켜 볼 수도 있겠지만 중간중간에 진행상황을 점검할 수 있다면, 목표 달성까지 얼마정도 걸리는 위치에 서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활환경이 달라지게 된 경우나 장르가 다른 직장에 다니기 시작한 경우도 필요에 따라 쉽게 궤도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매 4분기마다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싶으시면 2018/3/31에 알리미를 설정해 놓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2018년판 「새해 목표 노트」 템플릿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여기 링크를 클릭이나 탭하시고 웹 브라우저에서 파일을 연 다음에 「Evernote 에 저장하기」를 선택하시면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꼭 한번 시도해 보세요!

new-year-goals-template

Evernote Personal로 노트를 업그레이드하세요.

Personal 시작하기